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大韓民國?… 못읽겠어요” vs “학원서 중학교 수준 끝냈어요” - 2013. 06. 26.|

大韓民國?… 못읽겠어요” vs “학원서 중학교 수준 끝냈어요”
[동아일보] 2013-06-26

1. ‘大韓民國’ 글자를 보여줬다. 한 남학생이 머리를 긁적이며 읽기 시작했다. “대…조…. 잘 모르겠어요.” ‘대한민국’이라고 제대로 읽은 학생은 100명 가운데 48명. 절반이 채 안 됐다. ‘讀書’는 어떨까. 23명만 ‘독서’라고 답했다. 동아일보 취재진이 서울 강북구에 있는 A초등학교 3, 4학년 학생 100명에게 물어본 결과다.

2.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C한자학원. 초등학교 4학년인 한 남학생이 한자를 쓰는 솜씨가 예사롭지 않았다. 읽는 것은 물론이고 신중하게 획을 이어 쓰는데 그 수준이 상당했다. 한자능력 검정시험을 준비한다는 이 학생은 “중학교 수준 한자까지 이미 다 끝냈다”고 자랑했다.

초등학생 사이에서 ‘한자 디바이드(격차)’가 심각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한자 실력이 상당히 떨어지지만 일부 학생은 전문학원을 통해 한자 선행 교육을 집중적으로 받아 대조적이다.

A초등학교 학생들의 한자 ‘쓰기’ 실력은 더 심각한 수준이었다. ‘學生(학생)’을 정확히 쓸 줄 아는 학생은 13명. ‘明暗(명암)’은 단 5명만 제대로 썼다. 또박또박 명암이라 쓴 학생 5명 가운데 4명은 그나마 따로 학원을 다니며 한자를 배운다고 했다.

왜 이렇게 한자 실력이 떨어질까.

현행 교육과정 탓이 가장 크다. 초등학교에선 1년에 68시간 할당된 창의체험활동 시간에 한자 교육을 한다. 하지만 이 중 몇 시간을 한자 수업에 할애할지는 학교장의 재량이다. 그러다보니 서울시내 초등학교는 연간 평균 6∼8시간만 한자를 배우는 데 그친다.

‘온라인 언어의 남발’도 이유로 꼽힌다. 컴퓨터, 스마트폰에 익숙해진 학생들이 온라인 신조어 등을 자주 사용하며 망가진 말을 쓰다보니 어휘력이 줄고 덩달아 한자 실력까지 떨어졌다는 뜻이다.

이 반면에 일부 초등학생들은 한자 실력이 오히려 중학교 학생들보다 좋을 만큼 뛰어나 전반적인 학생들 수준과 크게 벌어지고 있다.

이유는 역시 사교육이다. 최근 일부 특수목적고, 대학 등에선 한자시험 자격증이 있으면 가산점을 준다. 이에 서울 강남, 목동 일대를 중심으로 한자 선행교육이 유행처럼 확산되고 있다. 실제 C한자학원 원장은 “최근 1, 2년 사이 대치동에만 한자 학원이 10곳 이상 늘었다”고 했다.

이러다보니 지난해 40만 명에 육박하는 한자능력 검정시험 응시자 가운데 상당수가 초등학생이었다. 올해는 한자 사교육 시장이 최소 10%, 많게는 30%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신종호 서울대 교수(교육학과)는 “가장 기본에 속하는 한자교육마저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생기면 교육격차 문제는 더욱 풀기 힘든 실타래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서울시교육청은 25일 ‘한자교육 추진단’을 운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을 단장으로 한자교육 전문가, 초등한자한문교육연구회 임원 등을 자문위원으로 위촉한 태스크포스(TF) 조직. 초등학교와 중학교 한자교육 강화방안을 찾고 한자 수업을 어떤 식으로 학교교육에 흡수시킬지 고민하게 된다.

김재환 시교육청 장학관(교육과정과)은 “어린 학생들이 정확한 어휘를 구사하고 어른 세대와의 언어 장벽을 허물려면 한자 교육이 필요하다. 또 학부모들의 한자교육 요구를 수용하고 사교육비도 낮추는 차원에서 추진단을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신진우 기자 niceshin@donga.com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40 거대시장 개척 디딤돌 될 한중일 공통 한자-서울경제 2013.07.09 어문정책관리자 2785 2013.12.31
39 한자를 알면 수학까지 마스터 '一石二鳥' -한국경제 2013. 07... 어문정책관리자 2640 2013.12.31
38 “孔子曰 孟子曰… 지금 하버드에선 동양 사상 열풍”-조선일보 2013.. 어문정책관리자 2774 2013.12.31
37 국어 문법공부, 한자 개념풀이로부터 시작해야 - 내일신문 2013.0.. 어문정책관리자 2887 2013.12.31
36 [지금 논쟁 중]초등학교 한자교육 강화 - 경향신문 2013-07-11 어문정책관리자 2679 2013.12.31
35 한자를 우리 글자로 인정해야 한다-경기신문 2013.07.12 어문정책관리자 2587 2013.12.31
34 [사설] 한자교육, 적극적인 해법 모색하자-중앙일보 2013.07.11 어문정책관리자 2639 2013.12.31
33 역사교육은 혼 심는 일…평가기준 넣어야… 어문정책관리자 2773 2013.12.31
32 한·중·일 공통 한자 800자 발표 … 미래세대 소통할 발판 만들.. 어문정책관리자 2512 2013.12.31
31 [씨줄날줄] 한자 디바이드-서울신문 어문정책관리자 2588 2013.12.31
30 이승만 대통령의 한글 사랑은 대단했다. 어문정책관리자 2808 2013.12.31
29 교과서 한자 배우니 어휘력 쑥쑥 -2013. 07. 02. 어문정책관리자 2670 2013.12.31
大韓民國?… 못읽겠어요” vs “학원서 중학교 수준 끝냈어요” - 2.. 어문정책관리자 2694 2013.12.31
27 [만물상] 어휘력과 한자 교육 - 2013. 06. 26 어문정책관리자 2736 2013.12.31
26 한자(漢字)교육이 필요한 이유 - 2013. 06. 25 어문정책관리자 2554 2013.12.31
25 서울 초중교, 2학기부터 '교과서단어' 중심 한자교육-2013. 06.. 어문정책관리자 2740 2013.12.31
24 “한자문화권 국가 한문교육 필수” 신학용 의원·교수연 정상화 촉구 .. 어문정책관리자 2838 2013.12.31
23 <국회 토론회…"대입전형에 한문성적 반영해야"> - 2013. 06,.. 어문정책관리자 2721 2013.12.31
22 한자교육을 하자 - 2013.06.03 충청투데이 어문정책관리자 2589 2013.12.31
21 漢字 교육이 '실패'한 이유 - 2013.05.25 조선일보 유석재 .. 어문정책관리자 2591 2013.12.31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