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교과서 한자 배우니 어휘력 쑥쑥 -2013. 07. 02.|

교과서 한자 배우니 어휘력 쑥쑥
하남 남한고 3년째 자체 교재로 교육중

하남시 남한고등학교가 지난 2011년부터 3년째 교사들이 직접 제작한 「교과별 기초한자」 교재를 전교생에게 배부하고, 매주 1시간씩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교 특색활동으로 활용하면서 학생들의 어휘력 향상 및 세대 간 언어장벽을 없애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1일 남한고에 따르면 교과별 기초한자 교재는 각 교과별로 담당교사들이 추천한 교과서에 나오는 어휘 중심의 기초 한자어로 이뤄져 있다. 예를 들면 문학교과서에 나오는 ‘화자(話者)’, ‘서정(抒情)’ 등의 단어가 각각 어떤 의미의 한자로 구성돼 있는지 알려 주는 식이다.
특히 국어사전의 70%가 한자 어휘로 돼 있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개념어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한자 이해 수준이 낮아 말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외국어 외우듯 단어를 암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다라 남한고 교사들은 교과별 기초한자 교재를 직접 제작해 활용하고 있어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고 실생활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또한 남한고는 2011년부터 매년 기초한자 교재에 실린 한자를 바탕으로 ‘한자 경시대회’를 개최하고 우수 학생을 시상하는 등 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을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남한고 관계자는 “앞으로도 「교과별 기초한자」를 계속 제작해 배부하고 활용, 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畿湖日報 2013년 07월 02일(화) 이홍재 기자 hjl@kihoilbo.co.kr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40 거대시장 개척 디딤돌 될 한중일 공통 한자-서울경제 2013.07.09 어문정책관리자 2785 2013.12.31
39 한자를 알면 수학까지 마스터 '一石二鳥' -한국경제 2013. 07... 어문정책관리자 2640 2013.12.31
38 “孔子曰 孟子曰… 지금 하버드에선 동양 사상 열풍”-조선일보 2013.. 어문정책관리자 2775 2013.12.31
37 국어 문법공부, 한자 개념풀이로부터 시작해야 - 내일신문 2013.0.. 어문정책관리자 2887 2013.12.31
36 [지금 논쟁 중]초등학교 한자교육 강화 - 경향신문 2013-07-11 어문정책관리자 2679 2013.12.31
35 한자를 우리 글자로 인정해야 한다-경기신문 2013.07.12 어문정책관리자 2587 2013.12.31
34 [사설] 한자교육, 적극적인 해법 모색하자-중앙일보 2013.07.11 어문정책관리자 2639 2013.12.31
33 역사교육은 혼 심는 일…평가기준 넣어야… 어문정책관리자 2773 2013.12.31
32 한·중·일 공통 한자 800자 발표 … 미래세대 소통할 발판 만들.. 어문정책관리자 2512 2013.12.31
31 [씨줄날줄] 한자 디바이드-서울신문 어문정책관리자 2588 2013.12.31
30 이승만 대통령의 한글 사랑은 대단했다. 어문정책관리자 2809 2013.12.31
교과서 한자 배우니 어휘력 쑥쑥 -2013. 07. 02. 어문정책관리자 2671 2013.12.31
28 大韓民國?… 못읽겠어요” vs “학원서 중학교 수준 끝냈어요” - 2.. 어문정책관리자 2694 2013.12.31
27 [만물상] 어휘력과 한자 교육 - 2013. 06. 26 어문정책관리자 2736 2013.12.31
26 한자(漢字)교육이 필요한 이유 - 2013. 06. 25 어문정책관리자 2555 2013.12.31
25 서울 초중교, 2학기부터 '교과서단어' 중심 한자교육-2013. 06.. 어문정책관리자 2740 2013.12.31
24 “한자문화권 국가 한문교육 필수” 신학용 의원·교수연 정상화 촉구 .. 어문정책관리자 2838 2013.12.31
23 <국회 토론회…"대입전형에 한문성적 반영해야"> - 2013. 06,.. 어문정책관리자 2721 2013.12.31
22 한자교육을 하자 - 2013.06.03 충청투데이 어문정책관리자 2589 2013.12.31
21 漢字 교육이 '실패'한 이유 - 2013.05.25 조선일보 유석재 .. 어문정책관리자 2592 2013.12.31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