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병기, 교육 효과 크다|

[조선일보를 읽고]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병기, 교육 효과 크다

조선일보 김정희 카이스트팀장 2015.05.29


'한자 병기, 글 읽기를 방해한다'(5월 19일 A29면)를 읽고 반대 의견을 밝힌다. 기고자는 한글 전용 교과서로 공부해도 학생들이 문장 뜻을 이해하는 데 지장이 없고 신문이나 인터넷에 한자가 적혀 있지 않아도 뜻을 파악하는 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했다. 한글로 쓴 문장을 보고 뜻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한자를 알면 더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그 선수는 국내 경기에서 5연패를 한 후 은퇴했다'는 문장을 보자. 이 선수는 명예롭게 은퇴한 것일까, 불명예스럽게 은퇴한 것일까? 연패가 '連覇'인지 '連敗'인지에 따라 전혀 다른 상황이 될 것이다.

또 기고자는 '선물(先物)'을 예로 들면서 문장의 흐름에서 '선물'의 뜻을 알 수 있다고 했는데, 정작 기고자 자신은 친구에게서 설명을 듣고서야 그 뜻을 알 수 있었다고 모순된 이야기를 했다. 기고자가 증권 회사에서 '膳物'을 취급하느냐고 물어보는 실수를 한 것은 바로 한글 표기만 보아서는 낱말의 뜻을 잘 구별할 수 없다는 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만약 '先物'이라고 쓴 것을 보았다면 그런 실수는 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사장이 선물을 통 크게 샀다'는 문장을 기고자가 어떻게 해석할지도 궁금하다. 李씨 성을 가진 증권회사 社長이 사업의 일환으로 先物을 산 것인지, 理事長이 거래처용 膳物을 산 것인지 구분이 가능한가? 파충류의 예를 들었는데, 초등학교용 한자로 쓰이지 않는 '爬'를 예로 든 것은 적절하지 않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한자를 병기한다면 4년간 500자, 즉 1년에 100자 남짓의 한자를 배우는 것이므로 큰 부담이 되지 않을 것이다. '학교'와 병기된 '學校'를 본 학생은 '學生'이나 '學年, 學習, 學級, 放學' 등을 보았을 때 낱말의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한자가 다른 낱말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다양한 쓰임새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효율적인 길을 놔두고 굳이 먼 길로 돌아가겠다는 이유를 알 수 없다.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번호 : 160

김진명 "漢字는 '동이족' 문자…우리 뿌리 자부심 가져야" new

번호 : 159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반대할 일인가? new

번호 : 158

新문맹시대..초라한 OECD 문해율 성적표 new

번호 : 157

“국어 지문, 모르는 단어 없는데 독해 어려워요” new

번호 : 156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추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new

번호 : 155

CEO가 꼽은 올해 한자(漢字)는? 熱氣(열기)·勇氣(용기)·溫氣.. new

번호 : 154

한자, 언제부터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 new

번호 : 153

교육부 초등 교과서에 한자 병기 도입 추진? new

번호 : 152

강신호 동아쏘시오 회장의 특별한 한자(漢字) 사랑 new

번호 : 151

한자는 '암기' ? 한자는 '과학' ! new

번호 : 150

<어떻게 생각합니까> ①한자병기로 어휘력 배양(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new

번호 : 149

초등 교과서에 한자 병기…45년 만에 부활 '논란' new

번호 : 148

'알파고' 이름 뜻, 알고보니 무섭네~ new

번호 : 147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논란] 한자병기는 상호보완적… “생각하는 습관 .. new

번호 : 146

한글과 한자의 어깨동무 new

번호 : 145

한글은 과연 우수한 글자인가? new

번호 : pri144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병기, 교육 효과 크다 new

번호 : 143

영어ㆍ일어ㆍ한문 모두 가르쳐야 new

번호 : 142

[이재오의 내 인생의 책](2) 자치통감 - 낙선의 절망 잊게 해준 .. new

번호 : 141

[이재오의 내 인생의 책](1) 논어 - 정치적 어려움을 이겨낸 ‘주문’ new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