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이재오의 내 인생의 책](1) 논어 - 정치적 어려움을 이겨낸 ‘주문’|

 [이재오의 내 인생의 책](1) 논어 - 정치적 어려움을 이겨낸 ‘주문’

경향신문 이재오 국회의원 2015.07.19


▲ 논어 l 공자


나는 어렸을 때 고향에서 작은형님을 따라 서당에 다녔다. 흥이 날 때는 어깨너머로 슬쩍 들여다보다가 기분이 내키지 않을 때는 슬그머니 빠져나와 놀았다. 서당이 파하면 형님과 같이 집에 오는 것이 그렇게 좋을 수 없었다. 집에 오면 나는 형님에게 그날 서당에서 배운 한문을 다시 배웠다. 형님은 복습하는 것이고 나는 형님 말을 따라 외우는 것이었다. 형님이 서당에서 책 한 권을 다 배울 때마다 책거리 떡을 해먹었는데 그 떡을 얻어먹는 재미도 쏠쏠했다.

형님이 “공자 왈” 하면 나도 “공자 왈” 하면서 외운 책이 바로 공자의 <논어>였다. <천자문>부터 <논어>, <맹자>, <대학>까지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에 귀동냥한 셈이다.

내가 <논어>를 다시 읽은 것은 1972년 10월 유신이 나고 유신 반대시위 주동 혐의, 말하자면 내란음모 혐의로 첫 옥살이를 시작했을 때였다. 엄혹한 시절이라 옥중에 사회과학서적을 읽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었고 종교 서적이나 한문 고서 정도나 겨우 볼 수 있었을 때였다. 나는 면회 온 아내에게 집에 있는 <논어>를 보내 달라고 했다. 감옥에서 <논어>를 읽으면서 인간의 도리, 정치의 본질, 지도자의 덕목 등을 다시 한번 마음속에 되새길 수 있었다. 아마 <논어>를 읽은 인구가 아시아에서 10억명은 넘을 것이다. <논어>의 자구 하나하나 달달 외우듯 한 사람도 수억명은 될 것이다. <논어>는 적어도 아시아에서는 고전이며 진리이다.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人不知而不온 不亦君子乎).” <논어> 첫머리에 나오는 이 구절은 내가 정치를 하면서 어려움이 찾아올 때마다 주문처럼 외웠던 것이다.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워하지 않으니 참으로 군자가 아니겠는가.” 해석의 차이는 있으나 이런 뜻이다. 지금도 가끔 <논어> 구절이 주문처럼 외워질 때가 있다. 나는 다섯 번 감옥살이를 할 때마다 항상 공자의 <논어>를 끼고 살았다.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번호 : 360

한자 알면 한글 교육에 걸림돌 될까 new

번호 : 359

[지금 논쟁 중]초등학교 한자교육 강화 - 경향신문 2013-07-11 new

번호 : 358

한국인 교황을 기대하며 new

번호 : 357

[바튼소리]한자병용 반대와 찬성을 보며 new

번호 : 356

고종석 “한자어도 한국어, 마음 놓고 써라” 中에서 new

번호 : 355

보령 대창초 '한자교육 최우수단체상'수상 new

번호 : 354

"대학재학 이상 학력자 절반 국어능력 기초 이하 new

번호 : 353

"한국어 깊이 이해하려면 한자 교육 필요"-2013.05.20 연합뉴스 new

번호 : 352

한국, 영어에만 관심, 한자 교육 등한시 - 조선일보기사 中에서 new

번호 : 351

'습자지 지식'도 안 쌓으면 대화가 안 통해 new

번호 : 350

[데스크 시각] 원, 위앤, 위안 new

번호 : 349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병기(漢字倂記) 개정안 발표와 영향 new

번호 : 348

한자문맹(漢字文盲) - 송재소 new

번호 : 347

'업무 중 한자 나오면 난감…' 한자 문맹 세대, 문제점은 - JTB.. new

번호 : 346

교과서 한자 배우니 어휘력 쑥쑥 -2013. 07. 02. new

번호 : 345

“한국 한문학, 中에 없는 독창적 특징” new

번호 : 344

‘동양고전 현대화’ 학술대회 - 경향신문 2013.11.18. new

번호 : 343

[열린세상] 한글전용시대의 언어교육 문제 new

번호 : 342

“한자도 한글처럼 관습헌법상 국어”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출범 - 동아.. new

번호 : 341

[매경춘추] 한자문화권 new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