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설왕설래] 국어기본법|

[설왕설래] 국어기본법

세계일보 강호원 2016.05.12


훈민정음이 반포된 것은 세종 28년 때다. 570년 전이다. 훈민정음 해례본 첫머리는 이렇게 시작한다.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가 서로 통하지 아니할새, 이런 까닭에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하는 바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펴지 못할 이 많으니라.” 그때 문맹률은? 십중팔구는 까막눈이었을 터다. 무지렁이 백성도 글을 알게 하고자 한 세종. 우민(愚民)의 틀을 깨고자 했다. 세종 임금이 대왕으로 불리는 것은 이 때문이다.

 

경서(經書)를 줄줄 꿴 조선 사대부들. 대왕의 뜻을 알기나 했을까. 훈민정음을 규방의 여인이나 쓰는 글이라며 암글이라고 불렀다.

 

세종을 도운 집현전 학자들도 그랬을까. 신숙주와 성삼문. 두 사람 모두 사역원 제조를 지냈다. 사역원은 통·번역을 담당한 관서다. 두 사람은 사역원에서 우리말을 쓰지 못하도록 했다. 사대주의 때문일까. 아니다. 한문이나 어물어물 외워 무슨 교린(交隣)을 하겠느냐는 생각에서다. 중국어 교재인 노걸대박통사도 달달 외우도록 했다. 중국어와 다른 한문, 또 다른 우리말. 신숙주와 성삼문은 그 이치를 꿰뚫어 봤을 듯하다. 그것이 한글 창제의 또 하나의 힘이 아니었을까.

 

한글만을 우리 고유 문자로 규정한 국어기본법이 헌재 심판대에 오른다고 한다. 이 법이 제정된 지 11년 만이다. 의견이 분분하다.

 

우리말과 같은 계통인 일본어. 가나를 쓰기 시작한 뒤 한자·가나 병기를 두고 논란을 벌인 적이 한 번도 없다. 왜 우리나라에서는 논란이 벌어지는 걸까. 외침(外侵)을 너무 많이 받았기 때문일까. 묘한 일이다.

 

생각해야 할 것이 많다. 우리말의 60% 정도는 한자어다. 과거 사전을 기준으로 하면 80%까지 높아진다고 한다. 훈민. 이 말을 두고 사람을 가르친다는 뜻이라고 일일이 외도록 해야 하나. 국어사전 표제어에는 왜 훈민(訓民)’이라고 한자를 병기하는가. 한글만 사용해야 한다면 訓民두 한자는 사전에서도 지워야 하는 것 아닌가. 한자를 모르고 한자어의 뜻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까.

 

더 큰일이 있다. 한문으로 이루어진 우리의 역사 사료들. 민족사의 사실(史實)이 곳곳에 녹아 있는 중국 ‘25()’는 고사하고 조선왕조실록조차 모두 번역하지 못했다. 수많은 한문 사료는 방치되어 있다. “한자를 가르치지 말자고 하니 스스로 까막눈이 되겠다는 것인가. 스스로 역사를 단절시키는 한글의 사화(史禍)’는 일어나지 않을까. 한자의 기원을 이루는 은허(殷墟)의 갑골문자. 그 은나라는 동이족의 나라라고 하지 않던가. 수천년 이어온 우리 문화의 뿌리를 법률로써 그렇게 뿌리뽑아야 하나.

 

강호원 논설위원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번호 : 500

[바튼소리]국어기본법 위헌소송을 보며 new

번호 : 499

[바튼소리]한자병용 반대와 찬성을 보며 new

번호 : 498

[발언대] 國漢文 혼용이 讀書의 능률을 높인다 new

번호 : 497

[발언대] 국회의원 '漢字 배지' 바꿔선 안 된다 new

번호 : 496

[발언대] 초등 漢字교육은 정체성 함양의 출발 new

번호 : 495

[발언대] 한자 輕視가 낳은 촌극 '좌회하세요' new

번호 : 494

[발언대] 漢字 박물관도 필요하다 new

번호 : 493

[발언대] 漢字 姓名(한자 성명) 되살리자 new

번호 : 492

[발언대] 漢字 지식이 科學·창의력 이끈다 new

번호 : 491

[발언대] 한자음 入聲韻(입성운), 세계무형문화재 등재하자 new

번호 : 490

[배규한의 내 인생의 책] (1) 대학 l 주희 엮음 new

번호 : 489

[백가쟁명:유주열] 한중(韓中) FTA 와 중국어 new

번호 : 488

[사람과 생각]“문화계승을 위한 연구, 중요성만큼 전폭적인 지원을” new

번호 : 487

[사설] 한자교육, 적극적인 해법 모색하자-중앙일보 2013.07.11 new

번호 : 486

[삶과 문화] 초등생 아들과 한자 배우는 판사 엄마 new

번호 : 485

[상반기 공채 포인트] LG그룹, 한자ㆍ한국사 공부 필수… 직무별 특.. new

번호 : 484

[새미 라샤드의 비정상의 눈] 한국어만의 특징, 얼마나 알고 있나 new

번호 : pri483

[설왕설래] 국어기본법 new

번호 : 482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그 남자가 ‘재원’이라고? new

번호 : 481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막창과 곱창 new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