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초등 학부모 과반수 한자 병기 “찬성”|

초등 학부모 과반수 한자 병기 “찬성”

학부모 교육정보 커뮤니티 ‘맘앤톡’ 설문조사

에듀뉴스 김용민기자 2015.05.11


[에듀뉴스] 오는 9월 확정될 예정인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주요 사항으로 초등학교 교과서에 한글과 한자를 함께 쓰자는 방안이 거론되면서 한자 병기에 대한 찬반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다수의 초등 학부모들은 한자 병기를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전문그룹 비상교육(대표 양태회)의 학부모 교육정보 커뮤니티 맘앤톡(www.momntalk.com)이 지난 4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 간 초등 학부모 회원 744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병기 추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5.6%(488명)은 ‘찬성한다’고 답했으며 ‘반대한다’는 응답은 23.5%(175명), ‘잘 모르겠다’는 10.9%(81)에 그쳤다.


 


 

한자 병기의 효과로는 가장 많은 52.7%(392명)의 응답자가 ‘단어 뜻의 정확한 이해’를 꼽았다. 이어 ‘언어 능력 향상’ 16.1%(120명), ‘학습 능력 향상’ 13.3%(99명), ‘외국어(중국어/일본어) 학습에 도움‘ 12.2%(91명), ‘인성 및 예절 교육에 도움‘ 2%(15명)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했다.

이는 한자를 함께 표기해야 의미가 더 명확해지거나 일상생활에서 한자를 알지 못하면 뜻을 파악하기 어려운 표현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초등 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할 경우 응답자의 44%(327명)은 ‘자녀의 학습 부담 가중’이 가장 우려된다고 답했다. 이밖에 우려되는 점으로 ‘한자 사교육 증가’ 26.6%(198명), ‘교과서에 대한 거부감 발생’ 16.4%(122명), ‘국어 이해 능력 저하’ 6%(45명), ‘한글 정체성의 약화’ 4.4%(33명) 등을 들었다.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과목 중 한자 병기가 가장 필요한 과목은 ‘국어’라고 답한 응답자가 66.8%(497명)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사회’ 20.7%(154명), ‘수학’ 4.8%(36명), ‘과학’ 3%(22명) 순으로 집계됐다.

국어는 지문이 많고, 사회는 한자의 뜻을 알아야 이해하기 쉬운 전문 용어들이 많아 한자 병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한자를 병기하기에 적당한 학년과 과목 범위는 응답자의 37.1%(276명)이 ‘초등 고학년 일부 과목’이라고 답했다. ‘초등 전 학년 일부 과목’ 22%(164명), ‘초등 고학년 전 과목’ 13.4(100명), ‘초등 전 학년 전 과목’ 10.8%(80명), ‘중학교부터 전 과목 적용’ 10.6%(79명)이 뒤를 이어 대다수의 초등 학부모들은 한자를 이해하려면 적어도 고학년 이상은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7.1%(648명)는 초등학생 자녀에게 한자교육을 시킨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인 교육 방법으로는 33.9%(252명)이 ‘학습지’를 꼽았고, 이밖에 ‘학습 만화’ 20%(149명), ‘자체적인 방법’ 11.8%(88명), ‘학교 및 방과후학교’ 9.1%(68명), ‘학원 및 이러닝’ 6.2%(46명), ‘학습 게임’ 5.9%(44명) 등을 이용해 한자를 가르친다고 답했다.

이 같은 한자교육을 통해 69.8%(519명)의 학부모들은 자녀의 어휘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했다. 어휘력 향상 외에도 ‘학업 성취도 향상’ 10.1%(75명), ‘한자 자격증 취득’ 9.4%(70명), ‘두뇌 발달’ 8.3%(62명) 등의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고 응답했다.

안경영 맘앤톡 총괄 책임자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한자의 비중이나 중요성이 커지기 때문에 일찍부터 배우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며 “영어나 수학처럼 한자공부를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으려면 아이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340 연천향교, 인근 군부대 인성교육 어문정책관리자 2675 2015.03.25
339 驛李用案內圖 어문정책관리자 2717 2014.02.05
338 역사교육은 혼 심는 일…평가기준 넣어야… 어문정책관리자 2724 2013.12.31
337 역사·한자문제, LG 채용 홈페이지서 미리 확인을 어문정책관리자 2729 2015.04.16
336 '업무 중 한자 나오면 난감…' 한자 문맹 세대, 문제점은 - JTB.. 어문정책관리자 2626 2014.03.20
335 언어학 표기법 한계 어문정책관리자 2056 2016.03.07
334 언어의 압축력을 만들어내는 '지혜의 건전지'… 순우리말 고집은 '대인.. [1] 어문정책관리자 2822 2013.12.31
333 어휘력 부족이 사고력 부족으로 어문정책관리자 3414 2016.05.03
332 어휘 발달, 문장력 발달에 꼭 필요한 한자 교육 어문정책관리자 2648 2014.06.26
331 어려운 古典만 가르치는 학교… 大韓民國도 못 읽는 학생들 어문정책관리자 2879 2014.01.20
330 암살(暗殺)이 암(癌)으로 죽는 것?… 不通사회 만드는 한자 문맹 조.. 어문정책관리자 2949 2014.01.02
329 '알파고' 이름 뜻, 알고보니 무섭네~ 어문정책관리자 2267 2016.03.11
328 안산 최용신기념관 '한자 문맹 탈출' 수강생 모집 어문정책관리자 2690 2014.04.11
327 아이들 한문 배우며 효·인성 핵심가치 익힌다… 최성규 목사가 출간한.. 어문정책관리자 2855 2015.07.30
326 아이는 칭찬을 먹고 산다…입장 바꿔 생각하고 잔소리는 삼켜라 어문정책관리자 2346 2016.01.27
325 실질문맹 회복, 지식경제시대의 필수조건 어문정책관리자 2193 2016.01.08
324 실각, 유임, 좌시 등 ‘실시간 검색 순위’에 등극하는 이유는?… ‘.. 어문정책관리자 2596 2014.07.03
323 실각, 유임, 좌시 등 ‘실시간 검색 순위’에 등극하는 이유는?… .. 어문정책관리자 3369 2014.07.07
322 新문맹시대..초라한 OECD 문해율 성적표 어문정책관리자 2291 2015.08.31
321 식수(食水)와 식수(植樹) 어문정책관리자 2542 2015.04.06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