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한자 '병기(倂記)'방안 환영한다|

한자 '병기(倂記)'방안 환영한다

충북일보 최준호 2015.04.09

   #.독일 작곡가 베버의 유명한 오페라 '마탄의 사수'는 국내에서도 종종 공연된다. 하지만 필자처럼 클래식 음악에 문외한인 사람들은 홍보문를 봐도 뜻을 파악하기 힘들다.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란 관점에서 볼 때 마케팅 전략의 실패다. 일본식 제목을 우리말로 직역한 탓이다. 
 
우선 '마탄'이란 단어가 생소하다. 백과사전을 찾아보면 '마탄(Matane):캐나다 남동부, 퀘벡 주 남동부의 도시'란 내용이 나온다. '사수'는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말이다. '사수(射手):대포나 총, 활 따위를 쏘는 사람' '사수(死守):죽음을 무릅쓰고 지킴' 등 국어사전에 올라 있는 것만 무려 23가지다. 그렇다면 이 제목에 '마탄(魔彈)의 사수(射手)'라고 한자를 병기(倂記)하면 어떨까. 한자를 제법 아는 사람은 '마술(魔)' '탄알(彈)' '대포나 총, 활 따위를 쏘는 사람(射手)' 이란 단어를 떠올리면서 공연 내용을 대략이나마 파악할 수 있다. 

#.필자가 청주 모 실내수영장 야외주차장에서 최근 경험한 사례다.

운전자들을 위한 안내판 문구는 이랬다. "낙수물이 떨어집니다. 주차 금지". 한자를 모르는 이른바 '한맹(漢盲)'들은 "이 문장이 뭐가 문제가 되나"라며 필자에게 시비를 걸 수도 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국어 사전에 나오는 '낙수(落水)'의 정의는 "처마 끝 따위에서 빗물이나 눈 또는 고드름이 녹은 물이 떨어짐. 또는 그 물"이다. 한자 뜻은 "떨어질 낙,물 수"다.

따라서 원뜻을 살려 안내판 문구를 우리말로 풀어 쓰면 "떨어지는 물물이 떨어집니다. 주차 금지"가 된다. '물(水)'과 '떨어진다(落)'가 각각 겹친다. 요즘처럼 바쁜 세상에,이 얼마나 낭비인가. 이 문구는 다음과 같이 고칠 수 있겠다. 1)"낙수. 주차 금지" 2)"물 떨어집니다. 주차 금지". 그렇다면 한자를 잘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란 이유로 '낙수'를 '떨어지는 물'이라고 풀어서 쓰는 게 바람직할까.

교육부가 2018년부터 3학년 이상 초등학교 교과서 일부 과목에 한글과 한자를 함께 쓰는 '병기(倂記)'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그러자 한글전용단체,시도교육감협의회 등이 반대하고 나섰다. 학습부담 과중, 사교육비 증가,한글 발전 저해 등이 주이유다. 어린이들이 한글만으로도 언어 생활을 잘 하고 있는 데,굳이 한자를 배울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과연 그럴까. 

필자의 체험으로 볼 때 중국,한국,일본 등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 3개 국가에서 한자는 모든 학습의 기본이다. 이들 나라의 각종 문화유산과 정보는 오랫 동안 한자를 바탕으로 축적됐다. 게다가 소리글자(표음 문자·表音文字)인 한글과 달리 뜻글자(표의문자·表意文字)다. 따라서 '손 수(手)'란 간단한 한자를 알면 '주먹 권(拳)' '칠 격(擊)' 은 물론 변형된 글자인 '기술 기(技)' '손가락 지(指)' 따위의 뜻을 연쇄적으로 유추하기 쉽다.  

기본을 모르고 학습을 하는 건 비경제적이다.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는 "우리말 어휘의 70% 이상이 한자어로 돼 있고 한자 어휘의 90% 이상이 두 가지 이상의 동음 이의어여서,한글과 한자를 함께 쓰면 높고 깊은 지식을 갖출 수 있다"라고 주장한다. 게다가 한자는 도덕성이 함양돼 있는 뜻글자여서 인성교육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한국인에게 한자는 우리말의 보조 수단으로,단어를 쉽게 해독하기 위해 필요하다. 필자 경험으로 보면 굳이 사교육을 받을 필요가 없이 종이신문이나 교재로 독학을 하거나,가정에서 어른들에게 배워도 충분하다. 21세기 국제화 시대에 영어만 열심히 하고,한자를 버린다고 한글이 발전될까. 한자 종주국인 중국은 머잖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강국으로 부상한다. 따라서 우리 2세들은 중국어는 모르더라도,한자를 알면 세상을 사는 데 더 유리할 것이다.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