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서예와 한문 해독력 - 국민일보 2013.10.11.|

[글방소리] 서예와 한문 해독력
언론인 박연호
(국민일보  2013.10.11.)

“어려서부터 한자는 꽤 알았어요. 명심보감 수준이지만 한문도 좀 읽었고…. 그래서 서예를 해도 큰 무리가 없겠다 싶어 퇴직 후 배우러 다녔는데 얼마 되지 않아 대단한 착각이란 걸 알았어요.” 서당을 6년째 다닌다는 한 분이 어느 날 허탈하게 웃으며 심정을 털어놓았다.

서예를 배우러 서실에 나가 글씨 쓰는 법을 열심히 배웠다. 예전 습자시간에 괜찮게 쓴다는 칭찬도 더러 들었던 만큼 생각보다 빨리 늘어, 자신감도 생겼다.

그러면서도 뭔가 미진하다는 느낌을 늘 떨쳐버릴 수가 없었다. 그건 다름 아닌 쓴 글의 내용이었다. 자신이 충분히 해독하고, 소화해야 하는데 그게 아니었다.

선생님이 준 글을 그대로 쓰는 건 별 문제가 없는데 그 해석이 자연스럽지 못했다. 풀이를 해주지만 아무래도 미심쩍었다. 유명 문장일 경우 관련 서적을 보면 되지만 그건 해독력과 별개였다. 서실의 다른 동료들도 비슷했다. 한 마디로 내용은 모르고 글씨만 그리다시피 베끼는 꼴이었다.

그는 ‘선생 자신도 모르는 글을 회원들한테 쓰도록 하는 게 싫어서’ 서실을 떠나 서당을 찾아 온 것이다. “한 6개월 다니면 자유자재로 한문을 읽게 되리라 믿었어요. 그러면 다시 글씨를 쓰리라 마음먹었지요. 그런데 6개월은커녕 6년이 지나도록 문리(문장해독력)가 나지 않으니 한심하군요. 뭘 몰라도 한참 몰랐던 거지요.”

그분처럼 서예를 하다가 같은 이유로 서당을 찾는 사람이 매우 많다. 그러나 생각처럼 잘 되지 않는다며 고민들을 한다.

이에 대해 서당 선생님 한 분이 진단했다. 즉 한문에서 글을 읽고 짓던 문(文)과 글씨를 쓰던 서(書)가 분리됐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예전에는 이것이 일원화돼 한문 읽으면 으레 서예를 하고, 서예 하면 당연히 문장을 지을 줄 알았다. 최근까지도 원로 한학자들은 그냥 붓으로 쓰면 그 자체가 서예작품이었다.

그러나 어문 환경이 바뀌면서 서예 따로, 한문 따로가 되었다. 한문으로 문장 짓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졌고, 필요도 없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서예작품을 보면 본문만 ‘그려놓고’, 이를 짧게 설명하는 방주(傍註)를 붙인 경우는 드물다. 대신 쓴 날짜나 자기 호 정도를 겨우 써놓는다. 심한 경우 자기가 쓴 작품을 한참 지난 뒤에는 못 읽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반면 한문만 읽으러 다니는 우리 같은 경우는 활자로 인쇄된 글만 읽지 붓으로 쓴 글은 깜깜하다. 암호 같은 초서는 말할 것도 없고 행서, 전서도 까막눈이다. 서당 선생님, 한문 교사, 교수들도 한문과 서예를 겸한 이가 드물다. 한문교육 전통이 무너진 탓이다.

서당 수강생 가운데 한문, 서예 양쪽 다 능한 인간문화재 같은 이들이 더러 있다. 어릴 때부터 집안에서 서예를 포함한 한문 교육을 받은 덕이다. 정규 교육의 미비점을 가정에서 보충한 복 받은 이들이다.

선생님 진단에 따르면 내용에 따라 마음이 달라지고, 글씨도 달라진다는 것이다. 추사(秋史) 김정희의 스승 조광진이 어느 날 새벽, 시끄럽게 지저귀는 새소리에 흥이 일어 새벽 새라는 뜻의 ‘曉鳥(효조)’를 썼다. 그러나 鳥자 밑에 넉 점을 싸는 치킴이 제대로 올라가지 못하고 아래로 축 처진 게 마음에 거슬려 내던져두었다가 누가 달라 하니 줘버렸다.

10년 뒤 중국을 갔는데 어떤 귀족 사랑방에 자기 작품이 걸려 있었다. 그는 몰래 치킴을 바짝 올려놓았다. 나중에 주인이 들어와 보더니 화를 벌컥 냈다. 조광진이 사연을 말하며 용서를 비니 주인은 ‘글씨를 쓰기만 하지 내용은 볼 줄 모르는 사람’이라고 비난하며 찢어버렸다. 새벽 새의 꼬리가 처진 것이 너무 잘 표현돼 비싼 돈 들여 샀는데 원작자가 버려놨다는 것이다. 자기도 모르게 감정에 따라 잘 썼던 글씨를 일반적인 단순 기준에 맞추려다 망친 것이다.

이처럼 글씨란 쓴 사람의 감정과 개성이 드러나기 마련인데 요즘 작품들을 보면 스승의 것을 맹목적으로 베껴 획일적인 데다 내용을 알지 못해 오자 탈자가 많다. 그러나 하루아침에 개선될 문제가 아니라서 서예 하는 이들의 고민이 많다.

우리만 그런 게 아니다. 중국 여행에서 어느 전시회를 갔더니 거기서도 그런 얘기가 나왔다. 중국도 간자를 쓰면서부터 한문 읽는 사람이 줄어 내용도 모르고 쓰는 작품이 적지 않게 나온다는 것이다. 도쿄에서 여러 해 공부했던 이가 일본도 그런 경향이 조금씩 나타난다고 했다.

씁쓸하지만 다소 위로가 된다 했더니 그런 문제점을 알고 한문 해독력을 기르려는 이들이 있는 한 괜찮다고 했다. 반면 그런 것을 고민하지 않고 대가 행세를 하는 이들이야말로 서예계의 진짜 고민거리라고 입을 모았다.

(끝.)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260 비상교육,30일까지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설문조사 어문정책관리자 2475 2015.04.09
259 사고다발 그리고 차집관거 어문정책관리자 2112 2016.02.22
258 '사려'가 뭐죠? … 한자 몰라서 우리말을 외국어처럼 외우는 아이들 어문정책관리자 2630 2015.04.02
257 社說 필사 8년… 詩人의 꿈도 이뤘습니다 어문정책관리자 2230 2016.03.04
256 삼성그룹 한자능력자 우대 / '이재용 부회장, 위기극복 열쇠 중국에서.. 어문정책관리자 2706 2014.07.03
255 서글(한자)을 버리면 한글도 반쪽글 어문정책관리자 2164 2016.02.24
서예와 한문 해독력 - 국민일보 2013.10.11. 어문정책관리자 2695 2013.12.31
253 서울 시·구립 도서관에 한자배우는 '서당' 생긴다 어문정책관리자 2650 2014.01.14
252 서울 초중교, 2학기부터 '교과서단어' 중심 한자교육-2013. 06.. 어문정책관리자 2672 2013.12.31
251 서울 평생학습관·도서관에서 한자교육 실시 - 머니투데이 2013.0.. 어문정책관리자 2500 2013.12.31
250 서울교육청, '학교 밖 한자교실' 재미와 흥미로 차별화 어문정책관리자 2517 2014.03.28
249 서울대생, 미적분 배울때 漢字뜻부터 찾더라 어문정책관리자 2872 2014.04.07
248 서울시교육청 내년 예산 ‘초중교 한자교육 지원 3억2550만원’ 편성.. 어문정책관리자 2513 2013.12.31
247 서울시교육청, '학교 밖 한자교실' 운영 어문정책관리자 2547 2014.03.28
246 서울시내 초중학교, 2학기부터 漢字교육 본격화 - 뉴시스 2013.0.. 어문정책관리자 2641 2013.12.31
245 성균관대, 미국-유럽 대학과 ‘한국학 전문센터’ 만든다 어문정책관리자 2721 2014.04.10
244 수천년 사투끝 영어와 전쟁…한글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어문정책관리자 3008 2014.10.06
243 수학자의 눈으로 바라본 종교 … “종교 분석하는 데 수학만 한 게 없죠” 어문정책관리자 2362 2016.08.16
242 '습자지 지식'도 안 쌓으면 대화가 안 통해 어문정책관리자 2601 2016.08.23
241 시진핑 뱡뱡면 계기로 본 ‘특이한 한자’ 어문정책관리자 3682 2014.02.26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