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열린세상] 한글전용시대의 언어교육 문제|


[열린세상] 한글전용시대의 언어교육 문제/김주성 한국교원대 총장


                                                                                       서울신문 2014. 02. 19

1970년에 한글전용화 정책이 시행된 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문맹률을 자랑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우리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한자어의 의미 소통에 문제가 생겼다. 한글전용세대에겐 상당수의 한자어들이 의미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암호처럼 돼 버린 것이다. 한자를 가르쳐야 한다. 그렇지만 무조건 한자를 가르친다고 해결될 문제도 아니다. 한자의 분석적인 의미를 가르치지 않으면 그것은 또 하나의 암호가 되기 십상이다. 모국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국어교육이 바뀌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한자교육만으로 해결하려는 생각은 환상에 불과하다. 한자는 종종 낱말의 의미를 제대로 알려주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자로 쓴 기차(汽車)는 요즈음 자주 타는 기차를 의미하지 않는다. 우리는 디젤기관차나 전동기관차를 타고 있는데, 기차는 옛날의 증기기관차를 의미한다. 중국에서 기차는 버스를 말하고, 우리말의 기차는 화차(火車)로 불린다. 중국에서도 한자는 낱말의 의미를 제대로 전달해주지 않는다.

의미를 제대로 알려면 낱말이 가리키는 대상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기차는 처음엔 증기기관차를 가리켰지만 요즈음 디젤기관차와 전동기관차를 가리킨다. 기차는 처음에 왜 증기기관차를 가리켰을까. 그런 까닭은 기(汽)가 본래 증기를 의미하고 차(車)가 바퀴 달린 수레를 의미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분석적으로 원초적 의미를 추적하지 않으면 낱말의 의미를 제대로 알 수 없다.

그런데 한자는 종종 원초적인 의미를 분석해내기 어렵게 한다. 동녘 동(東)을 보자. 동은 흔히 목(木)과 일(日)이 합성된 글자로 여겨져 왔다. 동은 해(日)가 나무줄기(木)를 타고 떠오르는 모습을 묘사한 글자라는 것이다. 그럴싸하지만, 100여년 전에 발견된 갑골문은 전혀 다르다. 갑골문의 동은 보자기로 물건을 싸서 양쪽 끝을 묶은 보따리를 상형한 글자다. 그러니 한문의 동은 동녘을 나타내기 위해서 차용한 다른 의미의 동음글자인 셈이다.

한자를 익혀도 한자어의 의미소통문제는 이처럼 풀기 어렵다. 한자를 익힐 필요가 없는 고유어의 경우에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젊은이들은 고유어인 무더위의 의미를 잘 모른다. 무더위가 무슨 뜻이냐고 물으면 무지무지하게 더운 더위라고 대답하기 일쑤다. 하지만 본래 그런 뜻이 아니었다. 무더위는 물과 더위가 합성된 말이다. 합성과정에서 ㄹ이 탈락됐다. 물기 많은 더위, 또는 습도 높은 더위를 뜻한다.

젊은이들은 대부분 독도가 왜 독도(獨島)로 또는 죽도(竹島)로 표기되는지 잘 모른다. 일본사람들은 죽도(竹島)라고 표기한다. 죽도라면 대나무가 많을 법한 섬인데 대나무는커녕 나무랄 것조차 거의 없다. 온통 돌로 된 섬이기 때문이다. 우리 선조들은 본래 대섬이라고 불렀다. 대섬의 대는 대낮이나 대머리의 대와 같다. 대낮에는 그림자가 없고 대머리에는 머리털이 없다. 대는 표면에 아무 것도 없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섬은 나무가 자라지 않는 대머리 바위섬을 의미한다. 일본인들은 우리말의 대섬을 죽도로 잘못 훈역하고는 자기네 섬이라고 우긴다. 언어학적으로 보아도 어처구니없는 주장이다.

독도를 지금은 독도(獨島)로 쓰고 있지만 예전에는 독도(禿島)로 썼다. 독도(獨島)라면 사실상 어딘가 좀 어색하다. 독도는 홀로(獨) 있는 섬(島)이 아니기 때문이다. 독도에는 암섬과 숫섬이 사이좋게 어울려 있다. 본래 독도는 독도(禿島)로 쓰였는데, 여기서 독(禿)은 독수리의 첫머리 글자이다. 독수리는 머리에 털이 없는 대머리 새이다. 독도(禿島)는 대섬의 정확한 훈역이었던 셈이다.

한글전용시대의 의미소통 문제는 낱말의 분석적인 의미를 정확하게 교육하지 않으면 풀 수 없다. 한자만 가르친다고 될 일이 아니다. 한자어든 고유어든 심지어 외래어까지도 낱말의 어원적인 또는 분석적인 의미를 정확하게 깨우치도록 교육해야 한다. 국어수업에서 어원사전과 한자사전을 널리 사용해야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한자병용시대로 돌아가자는 얘기가 아니다. 한글전용시대의 언어문화를 정교하고 풍성하게 발전시키자는 얘기다.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220 '독고노인'과 한자 교육-2010.11.08 조선일보 어문정책관리자 2592 2013.12.31
219 '습자지 지식'도 안 쌓으면 대화가 안 통해 어문정책관리자 2592 2016.08.23
218 英語公用語論에 대한 ‘한漢’ 倂用의 相補的 對應 어문정책관리자 2595 2015.03.06
217 “한자도 한글처럼 관습헌법상 국어”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출범 - 동아.. 어문정책관리자 2598 2013.12.31
216 한자문맹(漢字文盲) - 송재소 어문정책관리자 2598 2014.02.13
215 한국, 영어에만 관심, 한자 교육 등한시 - 조선일보기사 中에서 어문정책관리자 2599 2014.05.26
214 “한국 한문학, 中에 없는 독창적 특징” 어문정책관리자 2599 2014.12.08
213 교과서 한자 배우니 어휘력 쑥쑥 -2013. 07. 02. 어문정책관리자 2600 2013.12.31
[열린세상] 한글전용시대의 언어교육 문제 어문정책관리자 2601 2014.02.19
211 '업무 중 한자 나오면 난감…' 한자 문맹 세대, 문제점은 - JTB.. 어문정책관리자 2605 2014.03.20
210 [바튼소리]한자병용 반대와 찬성을 보며 어문정책관리자 2605 2015.03.12
209 고종석 “한자어도 한국어, 마음 놓고 써라” 中에서 어문정책관리자 2607 2014.07.04
208 [데스크 시각] 원, 위앤, 위안 어문정책관리자 2607 2014.06.17
207 한국인 교황을 기대하며 어문정책관리자 2607 2014.02.05
206 ‘동양고전 현대화’ 학술대회 - 경향신문 2013.11.18. 어문정책관리자 2607 2013.12.31
205 보령 대창초 '한자교육 최우수단체상'수상 어문정책관리자 2607 2014.01.07
204 "한국어 깊이 이해하려면 한자 교육 필요"-2013.05.20 연합뉴스 어문정책관리자 2608 2013.12.31
203 두산, 잡페어 경영진 총출동.. 한자활용 능력 평가 - 이데일리 뉴스.. 어문정책관리자 2611 2013.12.31
202 [국회보 2014년 12월호]한자를 모르면 우리말도 모른다 [1] 어문정책관리자 2611 2014.12.02
201 “한글전용정책 위헌… 헌법소원 청구할 것” - 천지일보 2012-07.. 어문정책관리자 2613 2013.12.31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