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이래 가지고 무슨 소통이 되겠나? - 조선일보 2013.10.31.|

[이한우의 태평로] 이래 가지고 무슨 소통이 되겠나?

조선일보 이한우 여론독자부장 2013.10.31.

 
귀와 눈을 밝게 하고 일과 사람을 잘 알라는 聰·明·睿·知 네 글자
표기 방식 제각각에 읽어도 뜻을 모르니 ‘앎’으로 가는 길 막혀
사회의 知力 약하면 진정한 리더십 안 나와




한글날이 올해부터 공휴일로 부활하기는 했지만 충분히 그 뜻을 살리지 못한 채 10월을 보내는 것 같아 이달을 보내는 끝자리에 한마디 해둬야 할 것이 있다.

친구 따라 강남은 못 갔지만 어찌어찌해서 아는 사람들 따라다니며 10년 가까이 사서삼경을 중심으로 한문 공부를 하다 보니 요즘 와서 새로이 깨닫게 되는 것들이 많다. 그중 하나, 글과 앎, 좀 ‘유식하게’ 말하면 문자(文字)와 지식(知識)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알몸과 나체(裸體), 밥집과 식당(食堂)의 서열 관계가 여기서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 같아 조금은 씁쓸하다. 게다가 누드와 레스토랑은 각각 이 둘보다 더 귀한 대접을 받고 있다는 사실만 지적해 둔다.

다시 본론이다. 聰明睿知, 사서의 하나인 ‘중용’에서 말하는, 성군(聖君)이 갖춰야 할 필수 요건 네 가지다. 이 글에 대해 21세기 평균적인 한국인들이 받아들이는 방식은 크게 봐서 세 가지다. 한자(漢字)를 조금 아는 사람이라면 ‘총·명·예·지’라고 읽은 다음에 ‘총명은 알겠는데 예지가 뭐지, 미래를 볼 줄 안다는 뜻인가?’ 정도 생각하며 지나간다. 두 번째 유형은 ‘총명하고 예지하여’라고 읽으며 약간의 풀이가 된 듯한 막연한 느낌을 갖고 지나간다. 세 번째 유형은 아예 소리도 못 내보고 그냥 지나간다. 이 유형이 아무래도 잘못된 국어 교육과 인터넷의 영향 등으로 가장 많다. 그리고 첫 번째 유형에는 국한문 혼용론자들이 많고 세 번째 유형에는 한글 전용론자들이 많아 간혹 논쟁도 한다.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우리의 철저하지 못한 어문정책으로 인해 서점에 가보면 聰明睿知(총명예지)를 표현하는 방법도 글쓴이나 옮긴이마다 제각각이다. 聰明睿知, 聰明睿知(총명예지), 총명예지(聰明睿知), 총명예지, 聰明하고 睿知하여, 聰明(총명)하고 睿知(예지)하여…. 아직 절반도 열거하지 못했는데 이 지경이다. 이 정도 되면 달랑 같은 한자 넉 자를 읽었지만 서로 소통이 될 리가 없다. 우리와 같은 한자권이지만 일본 같은 나라에서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여기서 보듯 한자 넉 자에 읽는 법은 열 가지, 스무 가지다. 이래 가지고는 글자에서 앎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가 없다. 10년 공부 끝에 알게 된 것이긴 하지만 聰明睿知(총명예지) 이 네 글자는 지금의 시점에서도 지도자라면 반드시 갖춰야 할 덕목을 말하고 있다.

聰(총), 귀가 밝다는 것이다. 청력이 좋다거나 경청을 잘한다는 뜻이 아니라 아랫사람의 말을 듣는 순간 그 말 속에 섞여 있는 참과 거짓, ‘전문용어’로 진위(眞僞)를 정확히 가려낼 줄 안다는 뜻이다. 明(명), 눈이 밝다는 것이다. 오랜 경험으로 인해 눈앞에 벌어지는 일의 잘잘못을 명확하게 가려낼 줄 안다는 뜻이다. 睿(예), 일에 밝다는 것이다. 그래서 어떤 일을 추진하기에 앞서 밑그림을 빈틈없이 그려낼 줄 안다는 뜻이다. 知(지), 사람에 밝다는 것이다. 사람을 깊이 꿰뚫어 보기 때문에 그 사람의 마음가짐이나 숨은 능력을 들여다볼 줄 안다는 뜻이다. 이렇게 풀이해야 왜 聰明睿知(총명예지)가 성군(聖君)의 덕목이라 했는지 알게 된다. 즉 글자가 앎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이처럼 훌륭한 지도자의 원칙이 주변의 책에 담겨 있었는데도 글자를 맴도느라 앎으로 나아가지 못한 우리 사회의 지력(知力) 때문에 제대로 된 리더십이 만들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참, 지력(知力)도 ‘알아내는 힘’으로 옮겨야 뜻이 보다 분명하겠다.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500 외래어의 현명한 표기 - 경향신문 2013.09.13. 어문정책관리자 2567 2013.12.31
499 81년 인천과 함께한 퇴직교수, 인천의 길을 묻다 - 인천시 인터넷신.. 어문정책관리자 2762 2013.12.31
498 “초등학교 한자 교육 도입하겠다” - 프레시안 2013.09.27. 어문정책관리자 2680 2013.12.31
497 서울 평생학습관·도서관에서 한자교육 실시 - 머니투데이 2013.0.. 어문정책관리자 2493 2013.12.31
496 한자를 초등생부터 가르치자 - 중앙선데이 2013.02.24. 어문정책관리자 2453 2013.12.31
495 한자 개념이해 소통형 강의 ‘명교수’, 한글세계화·재능기부 앞장 -.. 어문정책관리자 2451 2013.12.31
494 평창군, 다문화가정 한자교실 호응 - 뉴시스 2013.10.08. 어문정책관리자 2621 2013.12.31
493 한자 말살과 한글전용은 한국어의 위기…한글·한자 혼용해야 - TV조.. 어문정책관리자 2537 2013.12.31
492 한자만 나오면 ‘자아분열’ - 한겨례21 2013.10.11. 어문정책관리자 2640 2013.12.31
491 언어의 압축력을 만들어내는 '지혜의 건전지'… 순우리말 고집은 '대인.. [1] 어문정책관리자 2791 2013.12.31
490 한글과 함께 가는 한자 ‘한글 우수해도 한자(漢字)를 함께 써야’ -.. 어문정책관리자 2622 2013.12.31
489 서예와 한문 해독력 - 국민일보 2013.10.11. 어문정책관리자 2686 2013.12.31
488 “초등학교 한자교육, 한글 공부만큼 중요” - YTN 2013.10... 어문정책관리자 2684 2013.12.31
이래 가지고 무슨 소통이 되겠나? - 조선일보 2013.10.31. 어문정책관리자 2717 2013.12.31
486 “영어한자책 美서 성공 자신있었다” - 헤럴드경제 인터넷판 2013... 어문정책관리자 2706 2013.12.31
485 ‘동양고전 현대화’ 학술대회 - 경향신문 2013.11.18. 어문정책관리자 2604 2013.12.31
484 정보화시대, 동양고전에 길을 묻다 - 서울신문 2013.11.19. 어문정책관리자 2670 2013.12.31
483 “한자 읽을 때 뇌 기능 더 활성화” - YTN 2013.11.20. 어문정책관리자 2681 2013.12.31
482 한글과 한자(漢子) 읽을 때 사용되는 ‘뇌 부위’ 달라 - 브레인월드.. 어문정책관리자 2955 2013.12.31
481 [기고] “漢字工夫(한자공부)는 어려서부터” 어문정책관리자 2743 2013.12.31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