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한자문맹 벗어나자 - 조선일보 2014.01.06|

[세태 분석]

한자 문맹(漢字文盲) 벗어나자

"안중근 의사(義士), 어떤 과목 진료했죠?"…
젊은층 '독해不能(한자어 뜻 몰라 문장 해독 못하는 현상)'


/ 조선일보 2014.1.6.월


한글로만 표기된 동음이의어 한자… 뜻 구분 못해 의미상 혼란 일으켜
본지, 초등생 4학년 대상 조사 결과 71% "지문 읽고도 내용 모른다"
뜻을 모르니 제대로 된 해독 못해… 어휘 무너지면 사고체계도 무너져


"민원 처리 과정의 불편부당한 대우 및 불친절한 사례 신고 접수."(강원도 원주시청 홈페이지)

"한국 사회의 자유민주주의는 불편부당한 벼랑 끝에 위태롭게 서 있다."(2010년 4대강 사업 저지 범국민대책위원회 성명서)

이 문장들을 보고 별로 이상할 것이 없다고 여기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불편부당'을 '불편(不便)하고 부당(不當)하다' '불공정하다'는 정도의 뜻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편부당(不偏不黨)이란 그와는 정반대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不偏) 한편과 무리 짓지 않는다(不黨)' 즉 '공정하다'는 뜻이다.

'義士(의사)·醫師(의사)' '陣痛(진통)·鎭痛(진통)' 구분 못 해

44년 동안의 한글 전용 교육이 낳은 '한자(漢字) 문맹(文盲)' 현상이 급기야 사회적 불통(不通)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단어의 뜻을 제대로 모르기 때문에 의미 혼란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을 비롯한 젊은 층일수록 '한자 문맹' 현상이 심각해 세대 간 소통 단절까지 빚어지고 있다. '안중근 의사'의 의사(義士)를 의사(醫師)로 알고 '그분은 어느 과목을 진료하셨느냐'고 묻는가 하면, '야스쿠니 신사'의 신사(神社)를 '신사 숙녀'의 신사(紳士)로 잘못 아는 일이 그 예다.

한글로만 썻을 때 뜻을 알기 어려운 어휘. 뜻이 잘 안 통하는 신조 한자어.
▲ 일러스트=이철원 기자

최근 '한국 경제가 무너질 수밖에 없는 이만큼의 이유'라는 책을 써서 '한국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비판했다'는 말을 들은 일본인 미쓰하시 다카아키(三橋貴明)조차 "한국에선 '방수(防水·물을 막음)'와 '방수(放水·물을 흘려보냄)'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말을 했을 정도다.

문제는 이런 '불통' 현상이 전문가 집단까지 포함한 각 분야에서 심각한 오해와 오류를 낳고 있다는 점이다. 한 대학 병원의 A 교수는 "요즘 젊은 의사들은 '임신부가 진통(陣痛)을 한다'고 할 때의 '진통'과 '통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진통(鎭痛) 주사를 놓으라'고 할 때의 '진통'을 구분하지 못한다"며 "이러다가 정말 큰일이 나겠구나 싶었다"고 말했다.

서울의 주부 B씨는 최근 가수 이승기와 윤아의 열애설이 보도되자 중학생 딸에게 "어떻게 감쪽같이 이럴 수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딸은 이상하다는 표정으로 "그 사람들 그러는 건 당연하지 않아요?" 하고 반문했다. 알고 보니 '연예인(演藝人)'을 '연애인(戀愛人)'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대전의 4년제 대학 주간(週刊) 영자 신문이 발행 업무를 맡은 '주간(主幹) 교수'를 'Weekly Professor'로 쓴 일도 있다.

"어휘 무너지면 사고 체계 무너질 수도"

작문 숙제를 채점하던 경기도의 고교 교사 C씨는 아프리카 기아(饑餓) 문제를 소재로 쓴 한 학생의 글을 보고 고개를 갸우뚱했다. '어린이들은 며칠 동안 굶주리는 애환을 겪고….' '애환(哀歡)'이란 '슬픔과 기쁨'이란 뜻인 걸 몰랐기 때문에 나온 문장이었다.

얼마 전 교육부와 일부 교육청 사이에 '체벌'의 범위를 둘러싸고 논란이 빚어진 일이 있다. '손들고 서 있기'나 '운동장 돌기'를 체벌에 포함해야 하느냐는 것이었는데, '체벌(體罰)'의 뜻이 '몸에 직접 고통을 주는 벌(표준국어대사전)'이라는 것을 제대로 알았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논란이라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신체적 체벌'이라는 표현도 심심찮게 쓰인다.

지금처럼 한자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환경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이런 오해와 혼란이 더 번질 우려가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본지가 2010년 서울 지역 5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1%가 지문을 읽고도 무슨 내용인지 이해하지 못했다. 우리말의 70%를 차지하는 한자어의 뜻을 몰라 문장을 해독하지 못하는 '독해불능(讀解不能)' 현상이 드러난 것이다.

이병선 부산대 명예교수(국어학)는 논문에서 "기능(技能·기술상의 재능)과 기능(機能·하는 구실이나 작용), 출가(出家·집을 떠나감)와 출가(出嫁·시집을 감)처럼, 한글로만 표기된 한자어는 동음이의어 구별이 불가능하다"며 "한자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사고력과 탐구력을 약화시키고, 어휘 체계의 붕괴로 사고(思考) 체계마저 무너뜨릴 수 있다"고 했다.

/ 안준용(도쿄 특파원)


'나대지로부터 이격거리 두고 전작한다'…

무슨 말인지 아시겠나요?


소통 가로막는 구식 한자어들
충분히 고유어로 바꿔 쓸 수 있는데…
'어휘 권위주의'가 불통 사회 키운다


충분히 우리 고유어로 바꿔 쓸 수 있는데도 굳이 지나치게 어려운 한자어를 고수하는 것 역시 소통의 걸림돌이 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미 실생활에서는 찾아보기 어렵게 된 어휘들이 공문서나 안내문 등에 한자 없는 한글 표기만으로 쓰여 이해를 더욱 곤란하게 한다는 얘기다.

예를 들어 '나대지(裸垈地)로부터 이격거리(離隔距離)를 두고 전작(田作)을 한다'란 문장은 '빈터로부터 떨어진 거리에서 밭농사를 짓는다'로, '구랍(舊臘)의 자모회(姉母會)에 심심(甚深)한 사의(謝意)를 느낍니다'란 문장은 '지난해 12월의 어머니회에 깊은 고마움을 느낍니다'로 고쳐 쓸 수 있다. 그러나 어려운 한자어를 섞은 문어체로 써야 권위가 있다는 생각 때문에 아직도 상당수의 어휘가 옛날식 한자어로서 남아 있다. '조각사유(阻却事由·없게 하는 까닭)' '유예(猶豫·일을 결정하는 데 날짜나 시간을 미룸)' 같은 어려운 법률 용어도 한몫한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자연과학의 경우 전문 용어의 대부분이 옛 일본식 한자어인데, 무슨 뜻인지 잘 알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영어로 통일하는 현상을 보인다"며 "새로운 우리말 용어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양자 역학에서 '하나의 에너지 준위(準位)에 대해 두 개 이상의 상태가 존재한다'는 뜻인 'degenerate'의 번역어는 현재 '축퇴(縮退)'인데, 이런 것을 누가 이해하겠느냐는 것이다.

/ 유석재 기자


대인배·역대급·열폭…

이상한 한자 어휘들 미디어서 버젓이 사용


세대 단절 부르는 한자 신조어

'대인배' '역대급' '관종' '열폭' '훈남' '간지'….

최근 인터넷에서 모습을 드러낸 뒤 각종 미디어에서도 천연덕스럽게 쓰이는 신종 한자어들이다. 이 어휘들은 주로 한자를 잘 모르는 젊은 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말이다. 국어사전에 올라 있지 않은 것은 물론, 한자의 조어 원칙을 무시하거나 뜻이 통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 때문에 기성세대가 신세대가 쓰는 '신(新)한자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소통 단절까지 빚어진다.

'대인배(大人輩)'는 소인배(小人輩)의 반대말로 '아량이 넓고 관대한 사람'을 가리킨다고 한다. 2000년대 초에 부조리 대사로 유명한 만화가 김성모씨가 만화 대사로 처음 사용했으나, 점차 인터넷 사이트에서 유행하더니 신문과 방송에까지 버젓이 등장하는 말이 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무리'를 뜻하는 '배(輩)'라는 말이 폭력배·불량배·모리배·시정잡배 등 대부분 부정적인 말에 쓰이는 것이기 때문에 맞지 않는 단어라고 지적한다. '소인배'의 올바른 반대말은 군자(君子)라는 것이다.

'역대급(歷代級)' 역시 요즘 생겨난 단어다. '대대로 이어 내려온 여러 대(代)'라는 뜻의 '역대'와 '계급이나 등급'을 뜻하는 '급'이 합쳐진 것으로, '역대 1위라고 할 만한 등급' '역대에 남을 등급' 정도의 뜻으로 해석되지만 말 자체로는 의미가 잘 통하지 않는다.

'관종(關種)'이란 '관심종자(關心種子)'란 신조어의 준말이다. '주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싶어서 일부러 특이한 행동을 하거나 분탕을 치는 사람'을 뜻하는 말이지만, 그런 속뜻을 모르는 사람이 얼핏 들어서는 어리둥절하기 십상이다. '열등감 폭발'의 준말인 '열폭(劣暴)'이나 '훈훈한 남자'의 준말인 '훈남(薰男)'도 이 같은 방식의 신조어다.

일본식 한자어가 새로 자리를 잡은 경우도 있다. '간지(感じ)'는 '느낌'을 의미하는 일본어에서 온 말로, '간지난다'는 말은 '멋있다' '느낌이 살아있다'는 뜻으로 최근 인터넷과 미디어 등에서 급속하게 확산됐다.

/ 유석재 기자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560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67% '찬성' 어문정책관리자 3924 2014.10.08
559 “상쇄를 상세” “현재를 현제” 한자 모르니 맞춤법 엉망 어문정책관리자 3726 2016.08.25
558 [중국 이야기 25] 중국의 한자 폐지 운동 어문정책관리자 3723 2014.10.06
557 시진핑 뱡뱡면 계기로 본 ‘특이한 한자’ 어문정책관리자 3674 2014.02.26
556 ‘한자어 = 중국어’는 오해 어문정책관리자 3435 2014.07.04
555 어휘력 부족이 사고력 부족으로 어문정책관리자 3383 2016.05.03
554 실각, 유임, 좌시 등 ‘실시간 검색 순위’에 등극하는 이유는?… .. 어문정책관리자 3332 2014.07.07
553 [Law & Life] 이름에 한글·한자 섞으면 안된다?
2년..
어문정책관리자 3311 2015.07.21
552 국회사무처 8급 필기시험 대비법 어문정책관리자 3297 2015.04.16
551 한자(漢字) 단상(斷想) 어문정책관리자 3197 2014.08.25
550 [한자 문맹(漢字文盲) 벗어나자] "심여(심혈을)를 기울였지만 숲으로.. [1] 어문정책관리자 3135 2014.11.24
549 낯설지만 아름다운 순우리말 4793개 어문정책관리자 3091 2016.08.12
548 [강상헌의 만史설문] 시해(弑害)와 살해 어문정책관리자 3078 2014.10.29
한자문맹 벗어나자 - 조선일보 2014.01.06 어문정책관리자 3039 2014.01.06
546 한자교육이 한글교육에 반(反)하지 않는다. 어문정책관리자 3034 2016.08.25
545 한자 잃어버린 베트남도 '한자 부활' 움직임 어문정책관리자 3023 2014.10.28
544 한국, 청소년 학업성취도 국제 평가 보고서 분석해보니… 인재급 비율 .. 어문정책관리자 2996 2015.08.31
543 수천년 사투끝 영어와 전쟁…한글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어문정책관리자 2994 2014.10.06
542 한글과 한자(漢子) 읽을 때 사용되는 ‘뇌 부위’ 달라 - 브레인월드.. 어문정책관리자 2956 2013.12.31
541 [매경이 만난 사람] 한글한자병용 진두지휘 나선 `보수정치 산 역사`.. 어문정책관리자 2954 2014.10.13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