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고유어와 외래어의 조화|

[이 아침에] 고유어와 외래어의 조화 
                                                2016.02.03  중앙일보   조 현 용 /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원장


한국어에는 외래의 흔적이 강하게 남아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어만의 일은 아니다. 동아시아는 한자 문화권과 유교 문화권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데, 당시 가장 발달한 문명을 받아들이면서 한자어도 같이 한국어 속으로 들어온 것이다. 이는 일본어나 베트남어의 경우에도 비슷한 사정이다.

한자어는 고유어와 일정한 층위를 이루면서 발달하였다. 기초 어휘에는 고유어가 많이 남아있다. 기초 어휘는 시간이 지나도 많이 달라지지 않는 어휘로서 언어 비교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어휘다. 같은 계통의 언어를 비교할 때 주로 기초 어휘를 비교하게 된다. 이런 기초 어휘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신체어(눈, 코, 귀, 입 등) 친족어(아버지 어머니 언니 오빠 누이 등) 색채어(희다 검다 푸르다 붉다 노랗다 등) 천체어(하늘, 별, 달, 비, 눈 등) 자연어(땅, 돌, 흙, 내, 물, 바람 등) 수(數-하나, 둘, 셋, 넷 등)이 있다.

물론 기초 어휘 중에도 한자 어휘가 일부 들어 와 있다. 친족어 중에서 '형(兄), 동생(同生), 삼촌(三寸), 이모(姨母), 고모(姑母)' 등은 한자어다. 자연어 중에도 '산(山), 강(江)' 등은 한자어다. 산과 강이 '뫼'와 '가람'이라는 고유어보다 널리 사용되게 된 이유로는 한자로 지명을 바꾼 것에 원인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의 경우도 큰 수는 대부분 한자어로 바뀌었다. '백(百), 천(千), 만(萬), 억(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원래 고유어에서 '백'은 '온', '천'은 '즈믄'이었다. 

개념어에는 한자어가 많다. 이는 당시의 선진 학문을 받아들이면서 자연스럽게 한자어가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효, 충, 도, 참선, 화두, 열반, 학문, 논리, 개념, 사회, 개인, 민주주의, 자본주의' 등 한자어가 수도 없이 들어 왔다. 유교.불교.도교.기독교 등이 들어오면서 종교.철학 용어들이 들어오게 되었다. 불교 용어는 산스크리트어가 그대로 들어 온 것이 아니라 한자어로 번역된 용어를 받아들인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개화기 이후에는 일본식 한자어를 받아들이게 된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많은 서양의 개념을 한자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새로 만들어지거나 새로 개념화된 한자 어휘들이 한국어와 중국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해방 이후 새로운 문명에 해당하는 말에는 서양어가 많았다. 이때 서양어는 한자어나 고유어로 번역되지 않고 외래어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빵, 버스, 택시, 컴퓨터, 커피, 초콜릿' 등이 있다. 이 중에도 일본식 서양어를 받아들인 경우도 있다. '아파트, 볼펜, 샤프, 오므라이스, 돈가스' 등이 그렇다.

외래어의 유입으로 나타난 현상으로는 고유어와 외래어(한자어 포함)가 서로 다른 의미 영역을 형성하기도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뜻'과 '의미(意味)', '옷'과 '드레스(dress)'는 서로 다른 개념으로 사용된다.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전혀 다른 의미로 변화되는 경우도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마담'이다. 한국어에서는 아주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우리말과 차용어가 동의 중첩을 이루는 경우도 많다. 또는 한자어와 외래어 사이에 동의 중첩을 이루는 경우도 많다. '애초, 깡통, 드럼통, 역전앞, 동해 바다' 등 많은 어휘가 뜻을 강하게 하기 위해 중첩된다. 

지구촌 사회이기 때문에 문물의 교류와 함께 더 많은 어휘가 들어오고 나가게 될 것이다. 특히 정보화의 발전으로 급속도로 어휘가 전파되기도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새로운 어휘가 들어오는 것을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하지만 무분별한 외래어의 사용은 언어생활을 피폐화할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하여야 한다. 의사소통에 방해 요소가 될 수 있다.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340 2015개정 교육과정 '기초소양'과 '과목선택'간 균형 어문정책관리자 2653 2014.09.15
339 38명 중 단 1명만 정답 …미식가의 '미' 한자는? 어문정책관리자 2493 2016.06.15
338 3국 공용한자 808자 샹들리에 보며 탄성 … “현대인의 ?천자문 .. 어문정책관리자 2229 2015.12.02
337 4/7(화)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논란, 쟁점은?" file 어문정책관리자 2306 2015.05.01
336 4/7(화)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논란, 쟁점은?" 어문정책관리자 2404 2015.05.06
335 5급 공채 합격해도 연수성적 나쁘면 ‘탈락’ 어문정책관리자 2224 2016.01.21
334 81년 인천과 함께한 퇴직교수, 인천의 길을 묻다 - 인천시 인터넷신.. 어문정책관리자 2773 2013.12.31
333 8년째 日학력평가 1위, 시골 아키타縣(현)의 기적 어문정책관리자 2735 2014.08.28
332 가장 효율적인 교육투자는 일곱 살 이전의 漢字교육 어문정책관리자 2532 2014.11.01
331 강동구, 모든 사업에 ‘청소년 교육’ 영향 평가한다 어문정책관리자 2189 2015.10.26
330 강신호 동아쏘시오 회장의 특별한 한자(漢字) 사랑 어문정책관리자 2273 2015.10.28
329 강진군에 부는 한자교육 바람 어문정책관리자 2560 2015.01.26
328 거대시장 개척 디딤돌 될 한중일 공통 한자-서울경제 2013.07.09 어문정책관리자 2719 2013.12.31
고유어와 외래어의 조화 어문정책관리자 2166 2016.03.04
326 고전 배우는 포항문화원 한문강좌 `인기' 어문정책관리자 2738 2014.04.24
325 고종석 “한자어도 한국어, 마음 놓고 써라” 中에서 어문정책관리자 2616 2014.07.04
324 공무원 시험 면접 때 논어·명심보감 묻는다 어문정책관리자 2213 2016.03.02
323 공용한자 800자, 한·중·일 발전 디딤돌 - 중앙일보 2013... 어문정책관리자 2758 2013.12.31
322 과자·라면이름 한자·영어 더 크게 써도된다 어문정책관리자 2711 2014.04.14
321 교과목 이기주의로 SW 교육 막아선 미래 없다 어문정책관리자 2572 2014.06.23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