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데스크 시각] 원, 위앤, 위안|

[데스크 시각] 원, 위앤, 위안

서울신문 이창구 국제부차장 2014.06.17


새벽에 다니는 중국학원에 최근 미국인 한 명이 등록했다. 외국계 은행에서 근무하는 그는 상하이(上海) 발령을 앞두고 중국어를 열심히 배우고 있다. 이 동급생은 “요즘 미국에서도 중국어를 잘하면 취업에 훨씬 유리하기 때문에 적잖은 학생들이 연수를 떠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자(漢字)를 많이 아는 당신이 부럽다”고도 했다. 자신에게 한자는 문자라기보다 그림에 가깝다는 것이다. 실제로 표의 문자인 한자를 모르면 중국어 배우기가 몇 배는 힘들어진다. 다른 언어와 다르게 중국어는 하려는 말에 해당하는 문자가 떠오르지 않으면 좀처럼 입이 열리지 않기 때문이다.

평생 영어 콤플렉스를 겪는 터라 순간 우쭐해졌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니 우리는 전혀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었다. 대표적인 게 바로 원칙도 실리도 없는 중국어 표기법이다. 중국의 화폐 단위는 ‘元’이다. 이를 한문 독음하면 ‘원’이고, 중국인은 ‘위앤’이라고 발음한다. 그러나 현행 외래어 표기법은 ‘위안’을 고집하고 있다. 중국인이 알아듣는 ‘위앤’도 아니고, 우리끼리 잘 통하는 ‘원’도 아니다. 중국의 발음표기법인 ‘한어병음’에 따르면 ‘元’의 발음은 ‘yuan’으로 표기한다. 중국어 운모(韻母·모음) 뒤의 ‘an’은 ‘안’이 아니라 ‘앤’으로 읽어야 하는데 우리만 이를 무시하고 있다.

1986년 제정된 외래어 표기법의 대원칙은 원어민의 발음과 최대한 비슷하게 적는다는 것이다. 어떤 소리든 표현할 수 있다는 한글의 자신감이 반영된 원칙이다. 그러나 조금만 신경 쓰면 원어민 발음과 거의 똑같게 표기할 수 있는 중국어에서는 이 원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유명 관광지인 ‘桂林’도 한문 독음인 ‘계림’도 아니고, 중국인들이 말하는 ‘꿰이린’도 아니고, 어정쩡하게 ‘구이린’이라고 쓴다.

더욱이 현행 외래어 표기법은 중국 근·현대의 기점인 1911년 신해혁명을 기준으로 이전 인물 및 지명은 한문독음을 달고, 이후 인물이나 지명은 중국의 병음대로 쓰도록 하고 있다. 그렇다면 1911년 전후로 살다간 ‘孫文’은 ‘손문’일까 ‘쑨원’일까? 삼국지의 무대였던 ‘荊州’는 소설 삼국지에서는 ‘형주’로, 여행을 가면 ‘징저우’로 읽어야 하나?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은 “외래어 표기법은 외래어를 우리 문자 체계로 받아들이는 사회적 약속이기 때문에 학습자 편의를 위해 변경해서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어차피 중국어는 성조도 있어 현지 발음을 100% 구현할 수 없는 만큼 표기법의 통일성과 체계성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손예철 한양대 중어중문과 교수는 “한자를 역시 많이 쓰는 일본어는 예외 없이 현지 발음대로 적지만, 중국어는 사용자마다 표기법이 다 다를 정도로 체계적이지 않다”면서 “국립국어원의 경직성에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모두 ‘짜장면’이라고 하는데 표기법만 ‘자장면’을 고수하는 꼴이라는 것이다.

중국어에 별 관심이 없는 사람들에겐 ‘위안’, ‘위앤’ 논란이 ‘오렌지’, ‘아륀쥐’ 논란처럼 한심해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중국어의 확산 추세로 볼 때 앞으로 많은 이들이 영어 못지않게 중국어 때문에 고생할 게 뻔하다. 국립국어원이 학자들과 머리를 맞대고 현실에 맞는 표기법을 내놓으면 앞으로 닥칠 스트레스와 혼선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말과 문자 속에 이미 녹아 있는 중국어 학습에 대한 장점을 살리지는 못할망정 표기법으로 혼란을 부추길 필요는 없지 않은가.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520 [기고] “漢字工夫(한자공부)는 어려서부터” 어문정책관리자 2743 2013.12.31
519 [기고] 국어와 한글을 사랑하자 어문정책관리자 2113 2016.02.02
518 [기고] 民族正氣를 바로잡기 위해 어문정책관리자 2007 2016.02.03
517 [기고]‘훈민정음’은 한자의 토착화를 위해 창제됐다 어문정책관리자 2387 2015.05.07
516 [기고]초등학교 한자교육 ‘반대’에 답함 어문정책관리자 2349 2015.03.16
515 [기획] 요즘 1020 ‘실각(失脚)’ 몰라 인터넷 검색한다는데… 한.. 어문정책관리자 2706 2013.12.31
514 [데스크 눈] 교토에서 만난 808 한자 어문정책관리자 2056 2016.06.30
[데스크 시각] 원, 위앤, 위안 어문정책관리자 2603 2014.06.17
512 [동아광장/최진석]문자가 삶과 사유의 높이-넓이를 결정한다 어문정책관리자 2097 2015.11.11
511 [동아쟁론]초등교과서 漢字 병기 부활 어문정책관리자 2464 2015.06.19
510 [로버트 김 칼럼] 박대통령의 혜안에 감사하면서-뉴데일리안 2013... 어문정책관리자 2722 2013.12.31
509 [만물상] 어휘력과 한자 교육 - 2013. 06. 26 어문정책관리자 2668 2013.12.31
508 [만물상] '작은 중국' 명동 어문정책관리자 2076 2016.01.25
507 [말이 세상을 바꿉니다]<4>알 권리 막는 공공언어 어문정책관리자 2454 2014.07.11
506 [매경이 만난 사람] 한글한자병용 진두지휘 나선 `보수정치 산 역사`.. 어문정책관리자 2953 2014.10.13
505 [매경춘추] 한자문화권 어문정책관리자 2586 2014.04.29
504 [脈을 잇다] 시대 초월한 古典의 지혜… 딸들과 함께 전합니다 어문정책관리자 2765 2014.12.19
503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칸막이 없애 기초 소양 키워…융복합형 .. 어문정책관리자 2714 2014.09.25
502 [미추홀 칼럼]공교육과 한자 어문정책관리자 2664 2014.04.04
501 [바른말 광] 해야 할 일이 '깊은 산속'? 어문정책관리자 2657 2015.01.21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