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수천년 사투끝 영어와 전쟁…한글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수천년 사투끝 영어와 전쟁…한글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한겨레신문 한승동선임기자 2014.10.06



한자 재활용이 조어력과 독해력에서 약점을 지닌 한글을 보완해 영어와의 핵전쟁급 전면전을 헤쳐나갈 대안이 될 수 있을까. 한자를 특정국가의 국어가 아니라 서양의 라틴어와 같은 동아시아 전래의 공동자산으로 간주한다면 논의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한자의 등장에 대응해 중국 주변 동아시아 각 지역에서도 한자를 모방하거나 변용한 독자적 문자들을 만들어냈으나 대부분 다 소멸했다. (1번부터 7번까지 순서대로) 여진, 파스파, 쯔놈(베트남), 몽골, 서하, 만주(왼쪽 윗부분. 나머지는 한글), 일본 문자. 서해문집 제공

“우리 사회가 영어를 숭배하고 영어를 잘하는 사람은 자부심을 느끼는 반면 영어를 못하는 사람에게는 수치심을 느끼도록 강요한다는 사실을 정확히 꿰뚫고 있는 영화 배급사들은 자신있게 원어 제목을 그대로 붙이는 것이다. 그 누구도 이에 저항하지 못할 것을 알기 때문에.”

김흥식의 <한글전쟁>(서해문집 펴냄)은 영화 배급사들의 그런 예상이 정확히 들어맞았다고 말한다. “그토록 한자 사용에는 거부감을 나타내는 수많은 한글 애호가들조차 이런 현상에 대해서는 극히 일부만이 개별적 방식으로 문제점을 지적할 뿐 정책적, 조직적, 학술적으로 비판하고 나서지 않는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처음 척후병을 파견했을 때 한글의 방어를 예상했던 영어 진영은 의외로 아무런 방어태세가 갖추어져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성곽 곳곳에서 자신들의 진입을 위해 문을 열고 기다린다는 사실을 깨닫자 전면적으로 공격에 나선 것이다. (…) 영어라는 침략군에 맞서 한글 진영이 설치한 장애물은 없다. (…) 지금 영어는 한글 나라뿐 아니라 전세계를 상대로 핵전쟁을 벌이고 있다. 그래서 영어에 자기 자리를 내주고 사라져갈 위기에 처한 언어가 한둘이 아니다. 그리고 그 핵심에는 경제 논리가 자리하고 있다. 한마디로 돈을 많이 벌려면 영어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글도 조만간 사라져갈 위기에 처한 언어 중 하나일까?

한자에는 그토록 거부감을 나타낸
수많은 한글 애호가들조차
영어에 맞설 장애물은 만들지 못했다
세계를 상대로 한 영어의 핵전쟁에는
경제 논리가 핵심으로 자리하고 있다

지은이는 지난 30년간 미국 유학을 경험한 한국인 수를 70만으로 추산하면서 그들이 대한민국 사회의 주류로 편입되는 날 “대한민국은 이미 대한민국이 아닐 수 있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필사적으로 경쟁하며 추구해 온 돈벌이와 풍요의 끝, 그 사투와 진화의 끝이 결국 자기부정이라면, 끔찍하지 않은가.

피침략자의 자기부정이 침략자와의 동등한 자격 취득으로 이어진다면 또 모르겠으되, <한글전쟁>에 따르면 그건 불가능하다.

19세기 중반에 하와이의 왕 카메하메하 4세는 하와이 주민의 더 나은 지적 발전과 수입, 외국인과의 대등한 관계 수립을 위해 영어 교육을 전면화했다. 백년도 지나지 않아 영어는 하와이인들의 일상어가 됐지만 하와이인들은 몇몇 예외야 있겠지만 외국인과 대등해지지 못했고 대다수는 저임금에 천대받는 직업에 종사해야 했다. 일제 때 조선인들의 처지가 그랬고, 말·글을 잃어버린 청 제국의 후손 만주족의 오늘날 처지가 그와 크게 다르지 않다.

지은이는 진행 중인 영어와의 ‘핵전쟁’을 수천년에 걸친 한자와의 대전, 한글 말살을 국가기획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추진했던 일제와의 피어린 언어전쟁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본다.

그가 5년 전 <한글전쟁>을 위한 기획을 세우고 시작한 것도 바로 그 절박감 때문이었을 것이다.

5천년 전 중국에서 그림(상형)문자가 만들어지면서 시작된 우리말과의 전쟁은 그 뒤 갑골문자를 거쳐 서기전 200년 전후 한자가 한반도에 도입되면서 본격화한다.(제1차 대전) 한자어의 유입과 함께 고구려·백제·신라 고유어들은 대량 폐사했지만 당과 손잡은 신라의 삼국통일과 한자어를 우리말에 접목시켜 재창출한 서기체(임신서기석 표기 방식), 향찰, 이두, 구결 등의 ‘차자표기법’을 통해 1차 문자대전은 휴전상태에 들어간다.

세종의 한글 창제와 함께 시작된 2차 대전은 내전이었다. 그 전쟁 역시 한자와의 공존을 통해 휴전이 성립됐지만, 기존 세력의 지분을 대폭 먹어들어간 한글의 승리로 끝났다. 이후 약 반세기 동안 한글은 과거시험 과목이 되고 궁중 여인들에겐 한글편지가 일상화했으며 하층민들이 한글 투서를 날릴 정도로 세력을 급속히 확장했다. 이 투서를 단초로 한 연산군의 한글에 대한 ‘쿠데타’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도 선조가 ‘유시’(포고문)를 한글로 발표할 정도로 한글의 힘이 커졌고, 혁명을 꿈꾼 허균은 한글로 <홍길동전>을 썼다.

하지만 실학파조차 그 이상은 나아가지 못했다. 상층 계급의 그런 한계를 뚫기 시작한 것은 동학농민전쟁의 시작을 알린 국한문 사발통문에서 보듯 중·하층민이었다. 1894년 11월, 창제된 지 450년 만에 한글은 공식 문자(국문)가 됐다. 한글 교육기관이 서고 한글 신문과 책들이 쏟아져 나온 근대의 시작과 함께 제3차 한글대전도 시작된다. 정치·사회 혁신과 더불어 진행된 그 전면전이 한글의 승리로 귀결될 무렵 일제의 침략과 함께 4차 대전이 시작되고 조선어학회 사건에 이르는 전면적인 저항도 시작됐다. 그리고 광복과 함께 시작된 제5차 대전. 한글 전용 논란, 한글 간소화 파동,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한글 전용 대 한자 혼용 전쟁, 그리고 6차 대전.

여기서 어쩌면 이 책을 통틀어 가장 주목해야 할 대목이 등장한다.

한자 어원을 모르는 세대가 자라면서
조어력 부족한 한글 전용만 고집하면
신문물의 명칭을 영어에 의존하고
영어 문화권 편입을 피하기 어렵다

지은이는 한글 전용의 경우 한자 어원을 알 수 없는 세대가 이어지면 한글의 근간을 차지하는 한자어들의 경우 그것 자체만으로는 뜻을 짐작할 수 없는 단순 기호가 돼버릴 것이라 걱정한다. 그리고 한자 같은 표의문자에 비해 떨어질 수밖에 없는 표음문자, 그중에서도 음소문자인 한글의 조어(造語)력과 독해력 문제를 짚는다. 예컨대 영어 컴퓨터란 말을 표의문자인 한자는 뎬나오(電腦)라는 고유의 뜻글자로 옮겨 그 의미까지 한눈에 알 수 있다. 한글 또한 생각틀이나 전자지능기, 또는 컴퓨터로 옮길 수 있는데, 그 자체만으론 의미를 짐작하기 어려운 컴퓨터란 말을 주로 쓰고 최근엔 아예 영어 원어를 그대로 쓴다. 외부 언어 습득을 거의 사교육에 맡겨두고 있는 국가와 영어 숭배도 그걸 재촉한다.

“조어력이 부족한 한글 전용을 고집하는 한 신문물의 명칭을 외국어에 의존해야 하는 것은 필연적일 뿐 아니라 결국에는 그 외국어가 영어처럼 대부분의 문물을 표기한다면 영어라는 문자, 나아가 영어 문화권에의 편입을 피할 수 없다.”

매우 조심스럽지만, 김흥식은 오랫동안 불가분의 관계로 공존해온 한자 재활용을 ‘영어 핵폭탄’에 대처할 수 있는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한자를 서구의 라틴어처럼, 특정국의 국어가 아니라 동아시아 전래의 공동유산으로 본다면 충분히 논의해볼 수 있지 않을까.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220 한글날에 부쳐 어문정책관리자 2372 2014.10.21
219 이름에 못쓰는 한자, 확 줄어든다 어문정책관리자 2709 2014.10.21
218 다양한 중국문화 통해 익히니, 원어민처럼 '술술' 어문정책관리자 2629 2014.10.20
217 이름에 쓰이는 한자 5000자에서 8000자로 대폭 확대 어문정책관리자 2654 2014.10.16
216 <사람들> 잘못된 '한일역사 바로잡기' 한평생 이병선 명예교수 어문정책관리자 2732 2014.10.14
215 한국갤럽 조사, ‘초등 교과서 한자 竝用(병용)안’ 67% 찬성 어문정책관리자 2428 2014.10.14
214 [매경이 만난 사람] 한글한자병용 진두지휘 나선 `보수정치 산 역사`.. 어문정책관리자 2953 2014.10.13
213 “국한문 혼용으로 돌아가자…한국어 품격 높아진다” [2] 어문정책관리자 2843 2014.10.10
212 '한글 전용' 대 '한자 혼용'…끝없는 논란 어문정책관리자 2701 2014.10.09
211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67% '찬성' 어문정책관리자 3923 2014.10.08
210 국어가 있는 곳에 국가가 있다 어문정책관리자 2664 2014.10.07
209 한자 모르면 '불편하다' 54%, 10년전에 비해 급격히 낮아져 어문정책관리자 2412 2014.10.07
208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병기(漢字倂記) 개정안 발표와 영향 어문정책관리자 2588 2014.10.07
수천년 사투끝 영어와 전쟁…한글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어문정책관리자 2993 2014.10.06
206 [중국 이야기 25] 중국의 한자 폐지 운동 어문정책관리자 3721 2014.10.06
205 [발언대] 漢字 박물관도 필요하다 어문정책관리자 2466 2014.10.02
204 [천지일보 시론] 소리와 뜻 즉, 한글과 한자는 인류 최고의 문화 [1] 어문정책관리자 2870 2014.10.02
203 한국정책방송(ktv) - 심재기선생님 출연 (한자교육 필요성) 어문정책관리자 2756 2014.09.30
202 [기고/진태하]한자와 한글, 함께 써야 빛나는 ‘새의 두 날개’ 어문정책관리자 2452 2014.09.30
201 [한자 문맹(漢字文盲) 벗어나자] 추발(追拔)·도마(跳馬)·마장마.. 어문정책관리자 2703 2014.09.30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