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해군지마·흑묘백묘론… 초등학교때부터 고사성어 배운 효과|

[월드 톡톡] ·호랑이·고양이동물 비유 즐기는 중국식 화법

해군지마·흑묘백묘론초등학교때부터 고사성어 배운 효과

 

조선일보 안용현(베이징 특파원) 2014.01.11.

 

, 호랑이, 파리.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지금까지 중국의 부패 세력을 지칭할 때 비유한 동물들이다. 지난 7~8일 공안·검찰·법원 지도부가 참석한 '중앙정법(政法)공작회의'에서 그는 '부패 세력을 없애라'는 뜻으로 "해군지마(害群之馬)를 제거하라"고 지시했다. 작년 초 부패와의 전쟁을 선포할 때엔 "호랑이부터 파리까지 모두 때려잡겠다."고 말했다.

한 중국 언론인은 "중국인은 직설적으로 말하기보다 고전이나 고사성어(故事成語) 등을 인용해 비유적으로 돌려 말하기를 좋아한다.""외국인 입장에선 이해하기 어려워도 중국에선 초등학생도 자주 쓰는 단어가 많다"고 했다.

중국 학교에서 학습 분위기를 흐리거나 선생님 말을 잘 듣지 않는 학생을 가리킬 때도 '해군지마'라는 말을 자주 쓴다고 한다. 그런데 이 말을 한국 신문은 '검은 양'이라고 썼는데, 이는 시 주석의 '해군지마''Black sheep(검은 양)'으로 번역한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를 인용했기 때문이다. 'Black sheep'은 골칫덩어리, 말썽꾼이란 뜻이다.

중국 지도부의 화법에는 동물이 종종 등장한다. 1979년 덩샤오핑(鄧小平)'흑묘백묘론(黑猫白猫論)'이 가장 유명하다. '검은 고양이나 흰 고양이나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뜻인데, 그의 말로 고양이는 실용주의적 개혁·개방 정책을 상징하는 동물이 됐다.

베이징대의 한 교수는 "중국은 초등학교 때부터 국어 시간에 고사성어를 가르친다."고 말했다.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480 서울시교육청 내년 예산 ‘초중교 한자교육 지원 3억2550만원’ 편성.. 어문정책관리자 2510 2013.12.31
479 네 이름 한자로 쓸 수 있겠니? 어문정책관리자 2691 2013.12.31
478 [기획] 요즘 1020 ‘실각(失脚)’ 몰라 인터넷 검색한다는데… 한.. 어문정책관리자 2710 2013.12.31
477 한자(漢字)는 ‘마음 글자’ (8) 어문정책관리자 2671 2013.12.31
476 암살(暗殺)이 암(癌)으로 죽는 것?… 不通사회 만드는 한자 문맹 조.. 어문정책관리자 2926 2014.01.02
475 한자 文盲 - 조선일보 2014.01.02 어문정책관리자 2730 2014.01.02
474 한자문맹 벗어나자 - 조선일보 2014.01.06 어문정책관리자 3040 2014.01.06
473 보령 대창초 '한자교육 최우수단체상'수상 어문정책관리자 2607 2014.01.07
472 "한자 어휘 많이 알수록 공부가 쉽고 재밌죠" 어문정책관리자 2666 2014.01.08
471 한자공부로 어려운 어휘도 이해 쏙쏙! 어문정책관리자 2696 2014.01.08
470 한자문맹 어문정책관리자 2620 2014.01.14
해군지마·흑묘백묘론… 초등학교때부터 고사성어 배운 효과 어문정책관리자 2717 2014.01.14
468 서울 시·구립 도서관에 한자배우는 '서당' 생긴다 어문정책관리자 2644 2014.01.14
467 韓國 널리 알리려면 '우리' '제일' 이 말부터 빼세요 어문정책관리자 2517 2014.01.14
466 "올여름 퇴계 이황 찾아갑니다, 性理學 배우러" 어문정책관리자 2632 2014.01.16
465 일본은 '국어' 교과서 통해 한자 교육… 생활 한자 가르친다 어문정책관리자 2697 2014.01.20
464 어려운 古典만 가르치는 학교… 大韓民國도 못 읽는 학생들 어문정책관리자 2857 2014.01.20
463 祖父母가 새 부모님? 어문정책관리자 2782 2014.01.20
462 [한자 문맹(漢字文盲) 벗어나자] 漢字를 외국어 취급… 팔만대장경도 .. 어문정책관리자 2869 2014.02.03
461 驛李用案內圖 어문정책관리자 2699 2014.02.05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